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스크랩] 도하횡단 로프 (티롤리안 브릿지) 설치법

산과나 산행기록/암벽릿지

by TimeSpace 2014. 1. 3. 13:49

본문

제가 산사랑님의 도움으로 회사에서 내준 숙제를 완성했습니다..

특별한건 아니고요..정보를 공유하는 차원에서 만들어 봤습니다..

카페에 올리는건 다름이 아니라 회원님들이 알고있는 장비사용기술이나 유익한 방법을

 제게 전수해 주십사 하고 올리는 것입니다..왜냐하면 인명구조에 도움도 되고

제가 다음숙제를 준비해야 하기 때문이죠?!! 

아래 내용을 참고하시고 좋은 가르침 부탁드림니다..

 

------아래-----------

  여름휴가철에 피서객과 행락객이 산, 계곡, 강 바다 등에서 기상이변으로 인한 집중 호우로 갑작스럽게 계곡이나 급류에 갇힘(고립) 사고를 당할 수 있습니다.

  이 때 적절히 사용할 수 있는 도하횡단 설치법 중 기존에 사용하던 로프매듭 도하횡단 설치법과 그리그리와 로프맨(장비사용)을 활용한 설치법을 소개합니다.


티롤리안 브릿지 기술! 이것을 먼저 숙지할 것

 1) 자신은 물론 피구조자를 완벽히 구조할 자신감과 지식이 있을 경우에만 실시할 것

 2) 가장 물살이 약하며 도강 폭이 좁은 곳을 선택할 것

 3) 고정 확보물(나무 등)이 튼튼한 곳을 찾을 것

 4) 연결시스템과 매듭을 정확히 할 것

 5) 최초 도강은 숙련자가 해서 문제점을 보완할 것

〈 8자 매듭 설치법〉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일선 구조대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설치법

〈 프르지크 매듭 설치법〉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도하로프에 장력이 줄어들면 푸르지크 매듭을 바깥쪽으로 이동시켜 당겨주면 다시 장력이 회복됨



〈그리그리와 로프맨 활용 설치법〉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고정확보물에 슬링을 감고 그리그리 설치

로프맨과 도르레 설치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특징 : 그리그리의 자동 잠김 기능으로 쉽게 설치됨

       로프맨과 도르레는 푸르지크 매듭보다 이동이 쉽고 작은힘으로도 장력을 회복할 수 있음

〈 제동 장치 장비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주마, 미니트랙션, 크롤, 베이직, 티블록, 션트등도 로프맨과 같은 기능으로 사용할 수 있으나 제동 부위가 톱니 형태로 되어 있어 로프를 손상시킬 수 있으니 주의를 요망함.

출처 : 내 삶의 파트너
글쓴이 : 소나무 원글보기
메모 :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