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er 1.0 (2012/10/14) 쟆
★ 캠핑을 많이 해왔었기에, 백패킹을 시작하면서 너무 쉽게 생각하고 달려들었다. 사실 오토캠핑 장비는 거의 없는것이 없다시피 해서, 배낭하나만 산 다음에 이것들중 가벼운것들로 골라 들고 다니면 되지 않을까 하고 생각했었는데, 백팩장비와 오토캠핑 장비는 완전히 다르다. 기실 백팩장비는 오토캠핑에서도 쓸 수 있지만, 오토캠핑 장비는 백팩에선 쓸 수가 없었다.. 이제 백팩장비도 거의 다 장만을 해서인지 어떤 장비가 어떻게 필요한지 감이 좀 잡히는데다가, 그동안 사 모은 장비들을 하나씩 빠트리지 않고 엑셀에 기입해 놓았는데, 문득 처음 백팩을 시작하는 사람들에게 이 리스트를 공유하면 많은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해서 이렇게 글로 정리해 본다..
★ 글을 쓰려다 보니 장비를 종류별로 나누는게 꽤 어렵다. 어떤 장비는 이쪽 카테고리에도 속하는 동시에 저쪽에도 속하고.. 사실 분류가 크게 의미가 없지만 보기 좋으라고 나눠본것이니 크게 의미를 두지 않아도 된다.
★ 두째,세째 컬럼의 '필수' '추천' 항목중 '추천'에 있는 것은 가능한 구매하면 유용하게 쓸 수 있다. 필수,추천에 ○가 없는 항목은 천천히 구매해도 크게 문제가 되지 않는 항목들이다.
◈ 운행용 장비
필수 | 추천 | 설명 | ||
배낭 | ○ | 미스테리렌치, 또는 데날리프로 추천. 겨울까지 사용시 90리터 이상급으로 필요. 3계절용(65리터)과 겨울용(98리터) 2개 추천 | ||
배낭커버 | ○ | 오스프리 커버 추천. |
| |
벨트가방 | MR의 경우 플립탑박스가 필요. 쓰임새가 조금 있음. |
| ||
데이배낭 | ○ | 당일 등산용으로 35리터급 정도. 메이커 상관없이 맘에 드는걸로 사면됨. 배낭커버 당연히 필요 | ||
핸드폰케이스 | ○ | 어깨끈에 부착. 도이터 또는 미스테리월 추천 |
| |
디팩 롱 | ○ | 디팩이 없어도 된다고 하나 꼭 사야할 항목. 최대한 가벼운 걸로 사는것도 방법이며, 디팩이 있어야 배낭이 패킹시 각이 잘 나옴. | ||
디팩 숏 | ○ |
미스테리월 디팩 라이트 추천. 보통 배낭에 롱1개, 숏1개 있어야 편함. 코끼리디팩 롱1개와 일반디팩 숏1개로도 사용하며 코끼리 디팩에 장비들을 집어 넣음 |
||
방수백 | 15리터, 25리터, 50리터 3개정도 있으면 좋음. 씨투서밋 추천 |
스틱 | ○ | 레키나 블랙다이아몬드 추천. 래키는 내구성이 좀 약한듯 하나 가볍고, 블다는 좀더 튼튼하나 무거워 장거리에 불리. 백패킹용은 Shock기능이 있는것이 좀 더 유리함. 레키나 블다나 카본으로 추천 | ||
스틱 케이스 | 뽀대로 스틱케이스를 사긴하나, 별로 비추임. | |||
헤드렌턴 | ○ | 해드랜턴은 필수품. 야간 산행을 자주하면, 밝고 충전식인 페츨 나오 추천. 아니면 좀더 저렴한 페츨 Myo RXP 추천 | ||
선글라스 | ○ | 꼭 필요하진 않지만 운행중 이거 안쓴 사람이 없음. 요즘 대세인 루디프로젝트 추천. | ||
선글라스 케이스 | ○ | Ryders에서 케이스가 싸고 가벼움 | ||
컴팩 타월 | ○ | 어깨벨트에 매다는 타월로 쓸모가 많음. 락마스터나 사레와 추천. |
| |
워터백 | ○ | 워터백은 나에겐 필수 장비에 가깝도록 자주씀. 걸어가면서 물을 빨아 먹을 수 있어 너무 편함. |
| |
수통 | ○ | 1L 수통 필요. 날진,코베아 등 |
◈ 착용장비
필수 | 추천 | 설명 | ||
모자 | ○ | 기호대로 골라서 사용. 고어텍스 모자 불필요 | ||
비니 | ○ | 겨울 산행시 필수. 취향따라.. | ||
헤드밴드 | ○ | 안경쓴 사람에겐 SWEAT GUTR라는 실리콘 밴드 강추. 원래 싸이클용으로 사용하나 등산시 사용해도 상당히 좋음. |
| |
버프 | ○ | 겨울 산행시 필요. 취향따라. | ||
장갑 | ○ | 여름용, 봄가을용, 겨울용 필요. 여름용은 락마스터 1회용 추천 | ||
토시 | ○ | 여름에 수풀지대나 그늘없는곳에서 필요. 락마스터 추천 | ||
무릅 보호대 | ○ | 무릎이 좋건 나쁘건 일단 산행하면 절대 필수. 툴리스 제품 추천. |
| |
스패츠(숏) | ○ | 여름 반바지 입을때 강추. 봄가을도 쓰면 깔끔함. OR 추천. | ||
스패츠(롱) | ○ | 심설 산행시 필요. OR 추천. | ||
등산화 | ○ | 비브람창의 중등산화와 릿지화 각 1개 필요. 중등산화는 잠발란과 마인들이 유명 릿지화는 파이브텐의 캠프포가 유명 신발 하나로 버틸땐 캠프라인 로체등도 좋음 |
| |
깔창 | ○ | 툴리스 로드런너등을 선호함. 아직 안써봄. | ||
샌들 | 계곡 트래킹시 필요하나, 계곡에서도 거의 안씀. | |||
슬리퍼 | ○ | 여름철 숙영시 가벼운 쪼리 필수. 넘 편함. 3계절용 슬리퍼도 가벼운 것으로 준비하면 좋음 | ||
슬리퍼 주머니 | ○ | OK outdoor에 2000원 정도면 구매. 추천함 | ||
등산양말 | ○ | 여름용, 겨울용 필요. 락마스터가 저렴. 로너등도 유명 |
◈ 의류
필수 | 추천 | 설명 | ||
고어 방풍자켓 | ○ | 필수. 아크테릭스 고어 잠바류 추천. 알파SV와 베타AR이 인기. |
| |
방풍자켓 | ○ | 3계절 사용. 아크테릭스 솔라노 추천. |
| |
운행자켓(겨울) | ○ | 겨울에 운행용 자켓 필요. 아크 감마MX등 |
| |
운행자켓(3계절) | ○ | 간절기 운행 잠바로 아크 감마LT 가 적당. 솔라노 자켓으로 대체해도 됨 |
| |
상의(겨울) | ○ | 한겨울용 상의 2벌 아크 Rho AR 집넥 계열 |
| |
상의(초겨울) | ○ | 봄가을용 상의 2벌 아크 Rho LT 집넥 계열 | ||
상의(봄가을) | ○ | 초여름 초가을용 2벌 아크 크루계열 |
| |
상의(여름) | ○ | 반팔 2벌 필요. | ||
오버트라우져 | 고어텍스 바지. 아크 베타AR 추천. 옆 지퍼가 길어 바지입고도 탈착이 쉽다. |
| ||
하의(겨울) | ○ | 아크 감마SV 또는 MX 선호 | ||
하의(3계절) | ○ | 아크 감마LT |
| |
하의(반바지) | 아크 팰리세이드 추천 | |||
등산내의 | 아크 Phase SL 또느 SV | |||
등산속옷 | ○ | 기능성 속옷 필수. 바디핏 추천 | ||
우비 | 판초우의는 여름철 더워 운행시 불편하다. | |||
우모 잠바 | ○ | 숙영시 필요 | ||
우모 바지 | 숙영시 필요 | |||
우모 조끼 | 간절기 숙영시 유용함 | |||
우모 신발 | 겨울철 숙영시 유용함 |
◈ 리빙
필수 | 추천 | 설명 | ||
텐트 2인용 | ○ | 2인용도 2인이 간신히 잘 수 있는 사이즈로 실제 1인용 텐트라 할수 있음. 혼자 자면서 옆에 배낭이며 기타 짐등을 텐트내로 들여놓을 수 있어서 유용함. 블다 아와니는 4계절 사용가능하고, 2인이 쓸때는 베스티블로 확장하여 쓸 수 있어, 겨울에도 무난히 사용가능함 |
| |
텐트 1인용 | ○ | 기본적으로 가볍고 공간도 넓은 1인용 텐트가 좋음. 블다 하이라이트 추천 |
| |
비비 텐트 | 장거리 산행후 비박시 유용. 가능한 가벼운것이 좋으며, 블다 스포트라이트 비비 추천. 단 소유하고 있는 매트가 들어가는지 구매전 필 확인. |
| ||
침낭(겨울) | ○ | 겨울 침남은 어떤 구스다운이 얼마나 들어가있는지가 중요. 필파워가 800이상 되는것으로 충전량 1200g 이상 들어가 있으면 한겨울에도 사용 가능함. 유명 침남으로는 발란드레, 웨스트마운티니어링, 예띠, 몽벨 등이 있음. |
| |
침낭(3계절) | ○ | 겨울침낭 무게의 반정도로 일년중 사용빈도가 높음. 700필파워 이상되며 충전량 450g 정도 되는침낭이면 11월 초까지 사용가능. | ||
핫팩 | 겨울철 핫팩 2개정도 사용하면 따듯하게 하루를 날 수 있음. 군용 마이핫보온대 추천. |
| ||
리빙매트 | ○ | 텐트안에 깔아서 바닥공사에 쓰거나 텐트 앞에 깔고 앉아서 사용하면 편함. 짐 정리하여 패킹시 매트 위에 짐들 늘어놓고 배낭에 넣을때 유용. 엑스패드 멀티매트 추천. 저렴하나 성능좋은 락마스터 싱글블랑켓도 추천 |
| |
베게 | ○ | 개인 기호에 맞는 인플레터블 베게 사용 추천 | ||
매트 | ○ | 매트는 바닥 한기 차단 지수가 높은것으로 구매 필요. 여름용 겨울용 따로 있으면 편하나, 겨울용 하나로 4계절 사용하는것도 좋음. 가볍고 한기차단지수가 높은 써마레스트 네오에어 올시즌 매트 추천. |
| |
트레커 라운지 | 매트에 씌워 의자로 사용가능케 해주는 물건. 600그람 정도로 무게 부담없는곳 갈때 좌식모드로 사용하면 허리도 안아프고 좋음. 각 매트마다 자기에 맞는 체어킷을 구매하여야함. |
| ||
펌프 | ○ | 매트를 입으로 불기에 조금 힘이드는데, 에어펌프를 연결해 두면 어느정도 바람이 들어가서, 마무리로 4-5번만 불어주면 빵빵해짐. 마이크로버스터라고 건전지 2개를 넣고도 80그람정도인 펌프로 강력 추천함 |
| |
타프 | 3계절 사용하며, 비박 팀당 한 개만 가져가면 됨. 힐레 10UL이나 인테그랄디자인의 실타프3가 유명 |
| ||
타프스트링 | 실타프3는 스트링이 따라오지 않으므로 따로 구매해야함. 힐레 가이스트링 추천 |
| ||
타프 폴 | 타프폴은 거의 불필요. 나무를 최대한 이용하고 없을 경우 스틱을 사용 | |||
미니 접이식의자 | ○ | 너무 작은것은 좀 약함. 등받이 있건 없건 크게 도움 안됨. |
| |
방석 | ○ | 배낭 밑바닥에 붙히고 다니면, 배낭오염을 방지 할 수 있어 좋음. 비상시 깔고 앉아도 좋음 | ||
랜턴 | ○ | 가스랜턴은 야영의 운치를 더해줌. 코베아 티탄 랜턴이 가볍고 AS가 용이하므로 추천 |
| |
랜턴포스트 | ○ | 가스랜턴 사용시 필수품. |
| |
건전지랜턴 | ○ | 텐트안을 밝혀줄 최대한 작고 가벼운 LED등 필요 | ||
휴대폰 건전지 | 산에서는 약전계지역이라 배터리 소모가 심하므로 추가 배터리 필수 임 | |||
트레킹우산 | ○ | 리빙시 또는 운행중 살짝 비올때 필요. Sea to Summit 트랭킹우산은 가볍지만 고장이 잘나서 비추 |
| |
소형 야전삽 | ○ | 화장실이 급할때 매너상 삽이 꼭 필요하다. 코글란 백패커 야전삽 하나정도 배낭에 넣고 다니면, 어디를 가건 안 다녀온듯 흔적을 남기지 않고 다녀올 수 있다 |
| |
목욕 티슈 | ○ | 운행후 몸에 땀이 났을때 옷을 갈아 입어도 좀 찝찝할 수 있다. 노린스 목욕타월로 옷갈아 입기전 몸을 닦으면 개운하게 리빙을 즐길 수 있다 |
| |
스포츠 타월 | 어깨 부착하는 컴팩타올로 써도 되나, 하나 더 있으면 여름등에 유용하다 | |||
칫솔 치약 | ○ | 산 정상에서는 치약을 쓰지 말고, 하산하여 양치할때 쓰는것이 산을 오염시키지 않는다. |
◈ 쿠킹장비
필수 | 추천 | 설명 | ||
스토브 | ○ | 한겨울 고산지대가 아니라면 가스스토브로 충분히 사용가능하다. 코베아 티타늄 버너 추천 |
| |
보일 버너 | ○ | 물만 끓이는 용도로 쓰이는 버너로 여러가지가 있으나 겨울철 리빙시 난로로도 사용이 가능한 MSR 리액터가 제일 유명. |
| |
가스통 | ○ | 보통 1인당 중자 가스(230g) 1개면, 1박2일 나는데 무리가 없다. | ||
가스거치대 | 테이블등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가스가 중심잡기 어려운경우 사용한다. 가벼워서 짐되지 않으면서 꽤 유용한편인 장비이다. |
| ||
테이블 | ○ | 숙영시 필수장비이며 특히나 의자를 사용할 경우에 더 필요하다. 가능한 가벼운 것이 좋으며, 같이 백패킹을 다니는 지인들것과 같은것으로 사야 주욱 늘어 놨을때 높이가 잘맞아 좋다. 베른 노틸러스 테이블이 제일 가볍고 예뻐 추천한다. |
| |
코펠 | ○ | 티타늄 코펠이 가벼워서 좋으나, 가격이 비싸고 코팅되서 나오는게 없고, 얇아서 불 닫는곳의 열이 그대로 통과하여 불닫는 부분의 음식이 타거나 눌어 붙는다. 조금 무거우나 백패킹에서 제일 인기 좋은 국산 백마 왕초 A형 또는 B형 중자 코펠 하나 추천. |
| |
프라이팬 | ○ | 백마B형일 경우 프라이팬이 따로 필요치 않다. 백마 팬이 코팅이 좋아서 인지 스크래치가 적고 음식이 전혀 늘어붙지 않아 좋다. 백마 추천 | ||
로스터 | 가스불로 직화구이 요리를 할때 사용. 오지캠핑 카페 공구 로스터등을 사용 |
| ||
플레이트 | ○ | 쿠킹해둔 음식을 놓아둘 접시는 필수. 스노픽 티타늄 플레이트 추천 |
| |
식기 | ○ | 보통 밥그릇으로 씨에라 컵을 사용. 스노픽 티탄 씨에라컵이 가벼워서 좋으나, 백마 왕초 밥그릇도 저렵하고 설거지가 용이하므로 추천 |
| |
머그컵 | ○ | 음료수나 커피, 주류등을 마실때 필요. 스노픽 티탄 머그컵이 대세. 300ml나 450ml 더블컵 추천 |
| |
소주잔 | 라이프스포츠 은장 소주잔 추천 |
| ||
수저 | ○ | 티타늄 스푼 추천. 코베아등.. | ||
가위 | 문방구 가위등도 가벼우면서도 고기 자를때 등에 사용이 가능하다. | |||
라이타 | ○ | 1회용 라이터나, 미니토치 필요. 내구성이 조금 약하나 SOTO 토치를 많이 사용함 |
| |
국자 | ○ | 요즘 구하기 힘드나 유니프레임 트레일 래이들 티탄 추천 |
| |
칼 | ○ | 8cm정도로 준비. 벤치메이드, 오피넬등이 유명 |
| |
도마 | 락앤락 슬림도마 추천 | |||
양념세트 | ○ | 락마스터 미니 양념통 또는 솔트앤페퍼 플러스 라는 양념통이면 충분 |
| |
정수기세트 | 정수기는 카타딘이 유명. 카타딘 미니, 포켓, 하이커중 취향대로 고르면 됨 |
| ||
술병 | 백패킹에는 무게 때문에 주로 독주를 가져가는 경우가 많은데, 이럴때 사각플라스크 술병에 넣어가면 운치가 있다. Bazooka 술병이 싸고 예뻐 추천 |
| ||
쿨러 | ○ | 아이스박스는 필수 항목이며, OR 6쿨러가 대세임 |
| |
물티슈 | ○ | 설거지나 간단한 손닦기에 필수 | ||
키친타월 | ○ | 적당량 챙겨가면 유용함 | ||
설거지 티슈 | X | X | 1회용 설거지 티슈는 비추. 물로 헹궈낼수 없으므로 사용하면 안된다. | |
쓰레기용 비닐백 | ○ | 쓰레기는 모두 회수해야 하므로, 봉지에 담아 배낭에 달고 하산한다. |
◈ 음식
필수 | 추천 | 설명 | ||
쌀 | ○ | 쌀로 준비할 경우 꼭 씻은 쌀로 준비 | ||
햇반 | 햇반이 편리하나 무거움 | |||
새우 볶음밥 | ○ | 인스턴트 볶음밥으로, 새우,참치 등이 있으며, 팬에 3분정도만 데우면 바로 먹을 수 있어 편리함 | ||
누룽지 | ○ | 아침에 끓여먹으면 좋음 | ||
반찬 | ○ | 김치 등 | ||
라면 | ○ | 라면 1개씩 넣고가면 비상식량및 아침거리로 좋음 | ||
고기류 | ○ | 2~3끼 정도 해먹을경우, 개인당 300g~400g 정도 준비하면 충분. | ||
스프류 | 물만넣어 끓일수 있는 북어국등 준비 | |||
과일 | 계절과일 취향따라 준비 | |||
물 | ○ | 기본적으로 샘물이 근처에 있는지 없는지 잘 파악해야 하며, 1인 2L 정도 물을 준비하면 무난함 | ||
운행식 | ○ | 에너지바 추천 | ||
마른안주(아몬드) | 취향따라 준비 | |||
번데기 통조림 | 취향따라 준비 | |||
육포/참치포 | 취향따라 준비 | |||
맥주 | ○ | 여름철 맥주캔 한두개를 냉동실에서 꽝꽝 얼려서 아이스백에 넣어가면, 냉매 역할로 아주 좋음. | ||
소주 | 취향따라 준비 | |||
양주 | 취향따라 준비 |
◆ 이곳에 나열한 장비만 가지고도 백패킹 여행을 하는데 아무 문제도 없었습니다만, 혹시 추가해야할 사항이 있으면 댓글등에 알려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 가시기전 아래 뷰온도 추천 부탁드립니다. ^^
[스크랩] 13-09-18 일본 북알프스 종주산행 1일차 (0) | 2015.02.17 |
---|---|
[스크랩] [백패킹 공지] 2015.7.16~28 일본 북알프스 1차 종주 안내!! (12박13일) (0) | 2015.02.11 |
[스크랩] [정보] 일본 100명산을 중심으로 본 남알프스 분석 (0) | 2015.02.11 |
[스크랩] [정보] 일본 100명산을 중심으로 본 북알프스 분석 (0) | 2015.02.11 |
[스크랩] [정보] 일본 100명산을 중심으로 본 중앙알프스 분석 (0) | 2015.02.11 |